Skip to content

조회 수 3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더 쉬운 믿을교리] 156. 혼인성사8

가톨릭 교회 교리서 1655~1666항

발행일 2022-02-20 [제3282호, 18면]

가정을 교회라 부를 수 있을까요? “제2차 바티칸공의회는 가정을 오래된 표현에 따라 ‘가정 교회’라고 부릅니다.”(1656) 하지만 ‘가정이 곧 교회다’라는 뜻은 아닙니다. 예수님께서 세우신 교회는 당신의 대리자인 베드로가 있어야 하고 그가 지닌 하늘나라 열쇠가 있어야 합니다. 가정엔 죄를 용서하는 권한을 지닌 교황이 없습니다. 따라서 ‘가정이 곧 교회다’라고 말하는 것은 무리가 있습니다.

가정을 교회라고 할 때는 그리스도께서 세우신 가톨릭교회 모습이 가정에서 ‘상징적으로’ 재현되는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이는 마치 부부관계가 그리스도와 교회의 혼인 관계의 표징인 것과 같습니다.(1617 참조) 그리스도와 교회의 혼인 관계 안에서 하늘나라에서 살 하느님의 자녀가 탄생하듯, 가정에서도 자녀가 탄생하여 사회로 나아갈 준비를 합니다.

이처럼 가정이 교회의 모습을 지니면 좋은 점은 자녀들이 쉽게 교회에 적응할 수 있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는 우리가 교회에 적응하며 하느님 나라에 적응하는 법을 배우는 것과 같습니다. 태아는 어머니 뱃속에서부터 가정이라는 환경에 적응하는 연습을 합니다. 만약 부부가 자주 싸워 태중에서부터 아기가 불안하면 태어나서도 분명 가정에서 잘 적응하지 못합니다. 마찬가지로 가정에서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가 학교나 사회에서 잘 적응할 수는 없습니다.

가정이 교회의 모습이 되게 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람은 ‘어머니’입니다. 교회가 신자들을 그리스도와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면 어머니는 자녀들을 아버지와 연결해줍니다. 그런데 그리스도교 가정보다 오히려 유다교 전통을 따르는 가정이 교회의 모습에 더 가깝습니다. 유다교에서 어머니의 역할은 절대적입니다. 유다 어머니는 가정에서 아버지의 권위를 세워주는 데 모든 노력을 다합니다. 이 때문에 아이가 유다 자녀가 되는 조건은 아버지가 아니라 어머니가 유다인이어야 합니다.

유다인의 가정에는 거실의 소파나 식탁의 의자에 아버지만의 자리가 항상 존재합니다. 어머니가 마련하는 것입니다. 아버지가 출장으로 몇 개월씩 집을 비워도 그 자리에 자녀가 앉을 수는 없습니다. 유다인에게 있어 아버지의 권위는 하느님으로부터 내려온 것이기 때문입니다. 아버지가 곧 한 가정의 사제입니다. 교회에서 교황이나 주교, 혹은 사제들의 권위가 무너지면 어떻게 될까요? 그리스도의 권위가 무너진 교회는 버틸 수 없습니다. 그들은 그리스도의 대리자들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그들을 그리스도의 대리자로 여기게 만드는 중간역할이 중요합니다. 유다인 가정에서는 이 역할을 어머니가 하는 것입니다.

바오로 사도는 “모든 남자의 머리는 그리스도이시고 아내의 머리는 남편이며 그리스도의 머리는 하느님이시라는 사실을 여러분이 알기를 바랍니다”(1코린 11,3)라고 말하며, 그리스도의 교회가 아버지와 어머니를 통해 가정에서 순차적으로 재현되는 것으로 설명합니다. 유다 어머니는 아이들에게 “모르는 것은 아버지에게 물어보아라. 그리고 아버지가 모르면 랍비에게 물어라”라고 가르칩니다. 이로써 자녀는 어머니를 통해 아버지를 한 가정의 사제로 여기는 교육을 받습니다. 그럼으로써 자연적으로 신앙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교회도 그렇지만 가정도 하느님께서 만드신 작은 당신 나라임을 믿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도 가정을 다시 교회의 모습으로 회복해야 합니다. 가정이 교회로 나아가기 위한 신앙교육의 장이 되게 합시다.

 

전삼용 신부(수원교구 죽산성지 전담 겸 영성관 관장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2 환경&생태 가톨릭 평화신문 - 탄소 중립, 교회의 가르침과 실천 가정사목부 2021.08.30 44
151 생명 가톨릭 신문 - 장기이식 코디네이터의 하루 가정사목부 2021.09.06 80
150 환경&생태 가톨릭 신문 - 주교회의 생태환경위원회 '한일 탈핵 평화 순례 간담회' 가정사목부 2021.09.09 37
149 환경&생태 가톨릭 신문 - 국회 통과 '탄소중립기본권' 무엇이 문제인가 가정사목부 2021.09.09 13
148 동영상 cbck - 교황님의 기도 지향(지속 가능한 생태적 생활양식) 가정사목부 2021.09.10 56
147 환경&생태 가톨릭 평화 신문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절박한 심정으로 철회 호소 가정사목부 2021.09.14 43
146 생명 가톨릭 신문 - '생명을 위한 40일 기도' 한국서도 봉헌 가정사목부 2021.09.16 84
145 생명 낙태 종식을 위한 기도 봉헌 가정사목부 2021.10.06 85
144 환경&생태 가톨릭 신문 - 서울대교구 환경사목위원회, '기후위기와 농업' 주제 가톨릭 에코포럼 개최 가정사목부 2021.10.06 75
143 가정 가톨릭 신문 - [말씀묵상] 내 곁의 반려자는 또 다른 하느님 가정사목부 2021.10.06 28
142 가정 가톨릭 신문 - [생활 속 영성 이야기] 부부로부터 시작되는 세상의 변화 가정사목부 2021.10.06 24
141 환경&생태 가톨릭 신문 - 탄소중립위 종교위원들 사퇴 가정사목부 2021.10.12 9
140 환경&생태 가톨릭 평화신문 - 가톨릭기후행동 넓히자 가정사목부 2021.10.13 25
139 환경&생태 가톨릭 평화신문 - [보시니 좋았다] <1> 녹색 가족 만들기 가정사목부 2021.10.13 102
138 환경&생태 가톨릭 평화 신문 - [보시니 좋았다] <2> 녹색 성당 만들기 (상) 가정사목부 2021.10.13 112
137 환경&생태 가톨릭 평화 신문 - [보시니 좋았다] <3> 녹색 성당 만들기 (하) 가정사목부 2021.10.13 108
136 환경&생태 가톨릭 평화 신문 - [보시니 좋았다] <4> 녹색 세상 만들기 (상) 가정사목부 2021.10.13 81
135 환경&생태 가톨릭 평화 신문 - [보시니 좋았다] <5> 녹색 세상 만들기 (하) 가정사목부 2021.10.13 61
134 환경&생태 가톨릭 평화 신문 - [보시니 좋았다] <5> 녹색 세상 만들기 (하) 가정사목부 2021.10.13 37
133 동영상 가톨릭 영상교리 - 유아 세례 가정사목부 2021.10.19 28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

51796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죽헌로 72 천주교 마산교구 가정사목부
Tel : (055)249-7023, Fax : (055)249-7024

Copyright (C) 2012 ~ 2023 Diocese of Masan. All rights reserved.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