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30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제로 웨이스트 시작해보자

발행일 2022-06-12 [제3298호, 20면]

 

■ 지하 12m, 화석이 된 플라스틱 쓰레기들

30여 년 전 쓰레기매립장이었던 경기도 평택의 한 야산,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 등이 시추 작업을 했다. 지하 4m를 파자 막대 아이스크림 비닐 포장지가 나왔다. 더 파 내려가자 형형색색 비닐과 옷가지, 비료 포대, 스티로폼 등이 마치 화석처럼 줄줄이 나왔다. 이제 숲이 된 땅이지만 속은 썩지 않은 쓰레기로 가득했다.

살아가면서 어쩔 수 없이 생기는 생활 쓰레기들, 어쩔 수 없이 소비해야 하는 모든 물품들을 가능한 한 버리지 않고 끝까지 사용하고자 하는 것이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 운동이다. ‘제로’에는 극단적인 소비 절제라기보다는 무심코 소비하고 사용한 것들에 대해 다시 한번 돌아보자는 의미가 담겨있다.

‘제로 웨이스트’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공감대는 오늘날 어느 정도 확보가 된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립대 연구진이 지난해 7~9월 실시한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대다수인 74%가 환경 문제에 관심이 있다고 답했다. 4%만이 관심 없다고 답했다. 하지만, 응답자 절반은 제로 웨이스트 실천을 위한 수칙을 모른다고 답했다.


■ ‘거절’은 쓰레기 줄이기의 시작

제로 웨이스트 운동은 2001년, 미국 캘리포니아 종합 폐기물 관리위원회가 제로 웨이스트 정책 목표를 설정하며 시작됐다. 10년 뒤 ‘뉴욕타임스’가 비 존슨(Bea Johnson)의 블로그 ‘제로 웨이스트 홈’을 보도하면서 시민들의 일상으로 그 개념이 들어왔다. 이 블로그에서 존슨은 두 아이와 함께 쓰레기를 줄이며 사는 일상을 기록했다. 이후 미국과 유럽으로 제로 웨이스트 운동이 확산됐다. 한국에서는 2018년 ‘쓰레기 대란’이 사회 문제화되면서 제로 웨이스트 운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존슨은 제로 웨이스트 실천을 위해서 요구되는 원칙을 5R로 요약했다. 5R은 거절하기(refuse)와 줄이기(reduce), 재사용하기(reuse), 재활용하기(recycle), 썩히기(rot)를 의미한다. ‘거절하기’는 제로 웨이스트의 출발점이다. 일회용 컵이나 빨대를 받지 않고, 음식을 포장할 때 플라스틱 수저나 나무젓가락을 거부하는 방식이다. 나아가 꼭 필요하지 않은 기념품, 즉 장바구니, 텀블러, 우산, 수건 등도 거절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태도는 ‘줄이기’와 ‘재사용하기’, ‘재활용하기’와도 직접 연결된다.


■ 함께하는 ‘공유’의 정신

재사용과 재활용은 개인적 실천을 넘어서 ‘공유’의 개념과 연결된다. 개인의 실천은 공동체와 사회적 실천으로 이어져야 한다. 제로 웨이스트가 아직 보편화되지 않은 우리나라에서 쓰레기를 줄이려고 하는 활동가들은 쓰레기 줄이기 운동의 정신과 실천의 확산을 위해 노력한다. 릴레이 형식으로 이어지는 제로 웨이스트 챌린지 캠페인 역시 그 일환이다.

5R의 마지막 원칙인 ‘썩히기’는 가장 생소하고 난해한 실천 방법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 거주하기 때문에 ‘썩히기’는 가장 난이도가 높은 과제다. 반면 비교적 인구 밀도가 높지 않은 호주, 뉴질랜드, 미국 등 단독주택 거주민들은 제로 웨이스트 실천의 마지막 과제로서 ‘썩히기’를 완수한다. 이는 구매에서도 ‘썩는’ 물품을 선택해야 한다는 것을 뜻하고, 따라서 썩지 않는 플라스틱 등은 구매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제로 웨이스트 숍

제로 웨이스트 운동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연스럽게 ‘제로 웨이스트 숍’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가장 대표적인 제로 웨이스트 숍은 ‘알맹상점’이다. 알맹상점은 ‘껍데기는 가라! 알맹이만 오라’를 슬로건으로, 샴푸와 세제, 식자재 등을 가져간 용기에 덜어서 구매하는 리필스테이션이다. ‘더피커’는 국내 최초 제로 웨이스트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을 표방한다. 포장 단계부터 폐기물과 탄소 발생을 최소화해 제품을 생산하고, 가능하면 최대한 수리를 해주고, 폐기시에도 자연 순환이 되도록 제작한다. ‘디어얼스’는 고체치약, 비누 등이 주상품이고, ‘송포어스’는 여러 가지 친환경 브랜드를 취급하는 제로 웨이스트 숍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모두 만날 수 있다. ‘지구샵’은 고체치약과 대나무 칫솔 등 다양한 친환경 제품과 문구류도 함께 판매한다.

교회 안에서는 대전교구 천안 불당동본당이 ‘알맹상점’에서 영감을 얻어 ‘알맹이상점’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28일 문을 연 불당동본당 알맹이상점은 북카페 공간에 마련된 제로 웨이스트 숍이다.

 

박영호 기자 young@catimes.kr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7 동영상 cpbc [2020 생명분야 결산] 가정사목부 2021.06.25 169
216 동영상 나프로 임신법에 관한 모든것 가정사목부 2021.06.25 215
215 생명 가톨릭 신문 - 몸신학(2) 하느님이 왜 남자와 여자로? 가정사목부 2021.06.28 546
214 환경&생태 가톨릭 신문 - [공공재](11) 기후 위기는 '정의롭게' '기후정의 기본법'이 필요하다 가정사목부 2021.06.28 164
213 생명 가톨릭 신문 - 아래로부터의 생명운동 가정사목부 2021.06.28 207
212 생명 가톨릭 신문 - 몸신학(3) 몸사랑의 참된 의미와 인격 가정사목부 2021.07.05 482
211 환경&생태 가톨릭 신문 - [공공재](12) 기후위기와 청소년 기후 활동 가정사목부 2021.07.05 208
210 가정 가톨릭 신문 - [사랑과 생명의 문화] (5) 자연주기법 실천(2) 가정사목부 2021.07.05 208
209 생명 가톨릭 평화신문 - 차별금지법, 평등법부터 낙태& 시험관 시술까지....... 가정사목부 2021.07.06 316
208 생명 가톨릭 평화신문 - 이상민 의원 발의 평등에 관한 법률안 가정사목부 2021.07.06 274
207 동영상 cpbc 2021.05.24 찬미받으소서 7년 여정 개막 미사 가정사목부 2021.07.06 305
206 cbck&교황청 cbck 생태환경위원회 2021년 정기심포지엄 file 가정사목부 2021.07.08 498
205 cbck&교황청 정의평화위원회 사형제도폐지소위원회 세미나 file 가정사목부 2021.07.08 500
204 동영상 cbck 정의평화위원회 사형제도폐지소위원회 세미나 가정사목부 2021.07.08 164
203 환경&생태 [찬미받으소서] 반포 6주년 기념 공동 기도문 file 가정사목부 2021.07.08 560
202 동영상 가톨릭 영상 교리 - 혼인성사 가정사목부 2021.07.08 312
201 cbck&교황청 2022년 세계가정대회 공식 기도문 가정사목부 2021.07.08 494
200 환경&생태 가톨릭 신문 - [공공재[(13) - 기후위기 시대의 그린뉴딜 가정사목부 2021.07.12 164
199 생명 가톨릭 신문 - 몸신학(4) 혼인 생활과 독신 생활 가정사목부 2021.07.12 405
198 cbck&교황청 제10차 세계가정대회에 관한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 영상 메시지 가정사목부 2021.07.13 29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4 Next
/ 14

51796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죽헌로 72 천주교 마산교구 가정생명위원회
Tel : (055)249-7023, Fax : (055)249-7024

Copyright (C) 2012 ~ 2024 Diocese of Masan. All rights reserved.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