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37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아무도 모르게 배송해 드립니다."

상자 속엔 '낙태약'

2023.05.31

cpbc 뉴스

 

[앵커] 헌법재판소가 2019년 4월, 형법상 낙태죄에 대한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린지 4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국회는 관련 입법을 외면하고 있습니다.

국회의 무책임 속에 온라인상에선 인공임신중절약이 불법으로 유통되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정아 기자입니다.

[기자] 현재 국내에선 인공임신중절약, 이른바 낙태약의 판매와 유통은 모두 불법입니다.

식약처의 허가를 받은 약이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온라인상에선 이 약을 판매한다는 글을 아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간단한 검색만으로도 낙태약을 구매할 수 있는 사이트들이 여러 개 나옵니다. 

가격은 35만 원.

성공률이 98%라고 광고합니다. 

취재진이 상담원에게 연락을 취해봤습니다. 

https://img.cpbc.co.kr/newsimg/upload/2023/05/31/Bwa1685524029534.png 이미지

"여기서 구매해도 괜찮나요? 약이 안전한지도 걱정됩니다."

"네 고객님. 정상 임신이시고 주수에 맞게 복용 시 효과는 98% 이상입니다."

약을 어떻게 받을 수 있는 건지 물었습니다. 

https://img.cpbc.co.kr/newsimg/upload/2023/05/31/9ey1685524083256.png 이미지

"현재 미국제품 생산되지 않아 프랑스 원형 제품으로 배송해드리고 통관 문제로 알약만 배송됩니다. 해외배송이고 환불 안 됩니다."

국내에서 유통이 불법인 약이 어떻게 통관이 가능한걸까.

https://img.cpbc.co.kr/newsimg/upload/2023/05/31/c1x1685524110880.png 이미지

"타인 모르게 비밀포장"이라는 답변이 돌아왔습니다. 

안심하고 복용해도 된다는 상담사. 

정말 그럴지 산부인과 전문의에게 물었습니다. 

<최안나 / 국립중앙의료원 산부인과 전문의> 
"지금 이렇게 미프진을 국내에서 판매하고 있는 사이트는 모두 불법 사이트고 거기서 상담하는 의사도 아니고 그냥 불법 약을 유통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그 사람이 별문제 없다는 말을 믿고 드시면 정말 위험한 거고요."

최 교수는 "때로는 과다 출혈을 일으켜 심각한 상황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판매자들의 말만 믿고 약을 복용한 여성들은 부작용에 시달리고 있었습니다.

<최안나 / 국립중앙의료원 산부인과 전문의> 
"일단 유산된 상태에서 불완전 유산 상태로 출혈이 지속이 된다든지 그 이후에 정상 생리가 돌아오지 않아서 병원을 와서 진료받고 계시는 경우 굉장히 많고요."

하지만 최근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에서는 안전한 임신중지를 보장하기 위해 이 약을 필수의약품으로 지정하고 도입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SNS상에서 이뤄지는 불법 유통 판매로 생산지도 알 수 없는 약을 복용해야 한다"며" 안전한 임신 중지를 받을 권리가 침해됐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불법 유통이 이뤄진다고 해서 낙태약을 허용하자는 건 말이 안 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박은호 신부 /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장> 
"판매가 허가되지 않은 이유는 그만한 위험성이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기 때문에 판매를 하지 않는 거겠죠. 단지 불법 유통이 이뤄진다고 해서 그것을 허용하자고 하는 것은 일단 논리적으로도 맞지 않는 것이고…불법 유통이 자꾸 이뤄진다는 것은 이제 그것을 어떻게 하면 막을 수 있을까 거기에 대한 고민을 해야 되는 것이지…"

<최안나 / 국립중앙의료원 산부인과 전문의> 
"집에서 혼자 그러다가는 아기가 죽는 것뿐만 아니라 산모도 사망할 수 있는 굉장히 위험한 것이기 때문에 이런 일은 일어나지 않도록 정부의 단속이 정말 시급한 상황입니다."

헌법불합치 결정 후 4년째 무법상태에 놓인 낙태.

전문가들은 정부도 국회도 모두가 손을 놓고 있는 이 상황이 여성들을 위험하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낙태를 안 할 수 있는 사회, 어떻게 만들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시급합니다.


CPBC 김정아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7 가정 혼인 준비 절차 안내 가정사목부 2021.05.25 330
256 가정 가톨릭신문 - [사랑과 생명의 문화] (4) 혼인 준비 가정사목부 2021.05.25 276
255 가정 가톨릭 신문 - 1인 가구 시대의 사목 가정사목부 2021.05.25 233
254 가정 가톨릭 신문 - 신앙 대화 떠나, 아이와 대화 자체가 어려워요 가정사목부 2021.05.25 164
253 생명 가톨릭 신문 - 올바른 희망이란 무엇일까 7. 희망과 행동, 사회적 책임 가정사목부 2021.05.25 231
252 가정 가톨릭 신문 - 온가족 복음서 이어쓰기..... 가정사목부 2021.05.25 447
251 생명 가톨릭 신문 - 생명 나눔 동참 늘고 있다 가정사목부 2021.05.25 273
250 가정 가톨릭 평화신문 - 가족의 개념 확대하려다 가정의 가치 흔들린다 file 가정사목부 2021.05.25 198
249 가정 가톨릭 평화신문 - 좋은 아버지 영성, 그 시작은 아내에게 '자상한 남편' 되는 것 가정사목부 2021.05.25 215
248 환경&생태 2021년 대구대교구 교황회칙 [찬미받으소서]로 살기 file 가정사목부 2021.03.31 498
247 cbck&교황청 '사랑의 기쁨 가정'의 해 file 가정사목부 2021.03.31 346
246 가정 가톨릭 신문 - 사랑은 묻는 것, 살피는 것, 알아차리는 것 가정사목부 2021.05.27 209
245 환경&생태 가톨릭 신문 - [공공재](1) 기후 위기와 교회의 가르침 가정사목부 2021.06.03 222
244 환경&생태 가톨릭 신문 - [공공재](2) 과학이 말하는 기후위기 시대의 회심 가정사목부 2021.06.03 160
243 환경&생태 가톨릭 신문 - [공공재](3) 기후위기와 탄소배출 가정사목부 2021.06.03 165
242 환경&생태 가톨릭 신문 - [공공재](4) 기후위기와 농업 가정사목부 2021.06.04 270
241 환경&생태 가톨릭 신문 - [공공재](5) 기후위기에 맞서는 식생활과 생명농업 가정사목부 2021.06.04 212
240 환경&생태 가톨릭 신문 - [공공재](6) [찬미받으소서] 7년 여정과 기후위기 가정사목부 2021.06.04 256
239 환경&생태 가톨릭 신문 - [공공재](7) 기후 활동가 킹스턴 할아버지를 아시나요? 가정사목부 2021.06.04 181
238 환경&생태 가톨릭 신문 - [공공재](8) 기후위기 극복과 탄소중립, 그리고 정의로운 전환 가정사목부 2021.06.04 17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4 Next
/ 14

51796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죽헌로 72 천주교 마산교구 가정생명위원회
Tel : (055)249-7023, Fax : (055)249-7024

Copyright (C) 2012 ~ 2024 Diocese of Masan. All rights reserved.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